CS기초/OS,HW
-
운영체제 1: 컴퓨터의 구조와 운영체제의 역할과 구조CS기초/OS,HW 2021. 12. 8. 20:51
컴퓨터의 구조 폰 노이만 구조 컴퓨터 아키텍처로 1940년대 이후 지금까지 만들어진 거의 모든 컴퓨터가 이를 기반으로 한다. 폰 노이만 구조는 중앙처리장치(CPU), 메모리, 프로그램 세 가지 요소로 구성되어있다. CPU와 메모리는 서로 분리되어 있으며 둘을 연결하는 Bus를 통해 명령어 읽기, 데이터 읽기 및 쓰기를 처리한다. 이 전의 컴퓨터는(애니악 - ENIAC)은 새 입력을 넣을 때마다 손으로 직접 진공관 회로 스위치를 다시 조정해야하는 방식이었기 때문에, 폰 노이만 구조는 내장 방식 컴퓨터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예를 들면, 이전 컴퓨터는 1+1, 3-2 라는 두 가지의 명령을 수행하려면 하드웨어의 전선을 직접 1, 더하기, 1, 3, 빼기, 2를 의미하는 것으로 매번 바꿔 끼워 입력해야 했지..
-
[CS기초] 프롬프트의 종류, 쉘 환경변수에 대해CS기초/OS,HW 2021. 8. 20. 16:48
Prompt 프롬프트란 컴퓨터가 입력을 받아들일 준비가 되어 기다리고 있다는 것을 알려주는 메세지다. 리눅스 터미널에서는 $또는 #로 표시된다. $ : 일반 사용자로 접속했음을 의미한다 #: 관리자로 접속했음을 의미한다 %: C shell에서는 프롬프트가 %로 표시된다. 환경변수 변수란 값을 담고있는 상자같은 의미로 생각하면 된다. 너무 길거나 복잡한 행위를 반복적으로 수행해야할 때 해당 값을 변수에 담음으로써 빠르게 실행할 수 있다. Shell script에서 사용하는 변수는 모두 문자로 인식된다. 그래서 문자 사이에 공백이 없으면 굳이 쌍따옴표로 감싸주지 않아도 되며 숫자를 넣어도 문자로 인식한다. 변수의 종류에는 전역변수, 지역변수, 예약변수, 위치 매개변수, 특수 매개변수, 환경변수 등이 있다. ..
-
[CS기초] 콘솔, 커널, 쉘, 터미널의 개념 쉽게 이해하기CS기초/OS,HW 2021. 8. 18. 16:58
Console Computer는 말 그대로 compute, 생각해서 산출하는 기계이다. 단순한 계산을 하는 것이 아니라 해석을 하여 결과 값을 찾아내기때문에 calculater가 아닌 computer라고 부른다. 일련의 명령어를 입력받으면 그에 따른 답변을 출력하는데, 3+2=5라는 식에서 3+2는 명령어, =는 그 명령어를 전달하여 출력하도록 하는 매개체, 5는 컴퓨터가 명령어를 해석하여 찾아낸 결과를 보여주는 것이라고 이해할 수 있다. 마우스로 클릭을 하는 것, 키보드로 글자를 입력하는 것 모두 동일한 프로세스로 이루어진다고 이해하면 쉽다. ㄱ이라는 자판을 누르는 행위가 명령어가 되고, 키보드를 누르는 순간이 = 이 될 것이며 이 후 컴퓨터는 명령어를 해석하여 ㄱ이라는 글자를 화면에 출력하게 된다. ..